250x250
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Tags
- JavaScript
- 과제 진행하기
- 귤 고르기
- Leetcode #javascript #알고리즘 #Algorithms #js
- 자바스크립트
- 테스트 Date
- 테이블 해시 함수
- Hermes Engine
- 프로그래머스
- Google 애널리틱스
- mock date
- 리액트네이티브 엔진
- 통신망분석
- 날짜 테스트
- 헤르메스 엔진
- ResizeObserver
- 호텔 대실
- create-next-app
- 최솟갑 구하기
- 리액트네이티브
- 구름톤
- jest
- 구름톤 챌린지
- nextjs
- mutationobserver
- nextjs-performance
- 구름톤챌린지
- 연결 요소 제거하기
- 중첩 점
- Jest uuid syntax
Archives
- Today
- Total
나만보는개발공부블로그
[프로그래머스] 리코쳇 로봇 본문
문제 설명
리코쳇 로봇이라는 보드게임이 있습니다.
이 보드게임은 격자모양 게임판 위에서 말을 움직이는 게임으로, 시작 위치에서 목표 위치까지 최소 몇 번만에 도달할 수 있는지 말하는 게임입니다.
이 게임에서 말의 움직임은 상, 하, 좌, 우 4방향 중 하나를 선택해서 게임판 위의 장애물이나 맨 끝에 부딪힐 때까지 미끄러져 이동하는 것을 한 번의 이동으로 칩니다.
다음은 보드게임판을 나타낸 예시입니다.
...D..R
.D.G...
....D.D
D....D.
..D....
여기서 "."은 빈 공간을, "R"은 로봇의 처음 위치를, "D"는 장애물의 위치를, "G"는 목표지점을 나타냅니다. 위 예시에서는 "R" 위치에서 아래, 왼쪽, 위, 왼쪽, 아래, 오른쪽, 위 순서로 움직이면 7번 만에 "G" 위치에 멈춰 설 수 있으며, 이것이 최소 움직임 중 하나입니다.
게임판의 상태를 나타내는 문자열 배열 board가 주어졌을 때, 말이 목표위치에 도달하는데 최소 몇 번 이동해야 하는지 return 하는 solution함수를 완성하세요. 만약 목표위치에 도달할 수 없다면 -1을 return 해주세요.
문제 해결 방안
bfs를 통해서 해결하였다. 로봇의 출발점에서 여러가지 방향으로 출발할수있는데 여기서 일반 탐색과 다른점은 미끄러져서 이동한다는점인데 이 부분은 dx,dy의 이동부분을 끝지점이나 벽돌을 만날때까지 반복문으로 이동시켜서 해결할 수 있다. 미끄러진후 그 지점에 이동한후 그 지점을 이전값에 횟수를 하나 추가하여서 마지막 G위치에 도달할 경우 그 지점의 횟수가 정답이다. 만약 Infinity인 경우 -1을 출력하면 된다.
자바스크립트 코드
function solution(board) {
const n = board.length;
const m = board[0].length;
const move = Array.from({length:n} , ()=> Array(m).fill(Infinity));
const dx = [0,0,1,-1];
const dy = [1,-1,0,0];
let endX, endY;
function dfs(i,j) {
let q = [];
move[i][j] = 0;
q.push([i,j]);
while(q.length) {
const [x,y] = q.shift();
if(board[x][y] === 'G') {
return move[x][y];
}
for(let k = 0; k<4; ++k){
let moveX = x;
let moveY = y;
while(moveX + dx[k] >= 0 && moveX + dx[k] < n && moveY + dy[k] >= 0 && moveY + dy[k] < m && !(board[moveX + dx[k]][moveY + dy[k]] === 'D')) {
moveX = moveX + dx[k];
moveY = moveY + dy[k];
}
if(move[moveX][moveY] > move[x][y]) {
move[moveX][moveY] = move[x][y] + 1;
q.push([moveX,moveY]);
}
}
}
}
for(let i = 0; i<n; ++i){
for(let j = 0; j<m; ++j){
if(board[i][j] === 'R'){
dfs(i,j);
}
if(board[i][j] === 'G'){
endX = i;
endY = j;
}
}
}
return move[endX][endY] === Infinity ? -1 : move[endX][endY]
}
'Algorithm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프로그래머스] 귤 고르기 (0) | 2023.09.20 |
---|---|
[프로그래머스] 과제 진행하기 (0) | 2023.09.19 |
[프로그래머스] 미로탈출 (0) | 2023.09.19 |
[프로그래머스] 이진 변환 반복하기 (0) | 2023.09.15 |
[프로그래머스] 최솟값 만들기 (0) | 2023.09.1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