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- 리액트네이티브 엔진
- nextjs
- 통신망분석
- create-next-app
- 최솟갑 구하기
- 중첩 점
- nextjs-performance
- 프로그래머스
- 구름톤
- 과제 진행하기
- ResizeObserver
- 테이블 해시 함수
- Jest uuid syntax
- Leetcode #javascript #알고리즘 #Algorithms #js
- 자바스크립트
- mock date
- 날짜 테스트
- mutationobserver
- 헤르메스 엔진
- Hermes Engine
- 연결 요소 제거하기
- 구름톤 챌린지
- 리액트네이티브
- 귤 고르기
- jest
- 호텔 대실
- 테스트 Date
- 구름톤챌린지
- Google 애널리틱스
- JavaScript
- Today
- Total
나만보는개발공부블로그
[프로그래머스] 석유 시추 본문
문제 내용
세로길이가 n 가로길이가 m인 격자 모양의 땅 속에서 석유가 발견되었습니다. 석유는 여러 덩어리로 나누어 묻혀있습니다. 당신이 시추관을 수직으로 단 하나만 뚫을 수 있을 때, 가장 많은 석유를 뽑을 수 있는 시추관의 위치를 찾으려고 합니다. 시추관은 열 하나를 관통하는 형태여야 하며, 열과 열 사이에 시추관을 뚫을 수 없습니다.
예를 들어 가로가 8, 세로가 5인 격자 모양의 땅 속에 위 그림처럼 석유가 발견되었다고 가정하겠습니다. 상, 하, 좌, 우로 연결된 석유는 하나의 덩어리이며, 석유 덩어리의 크기는 덩어리에 포함된 칸의 수입니다. 그림에서 석유 덩어리의 크기는 왼쪽부터 8, 7, 2입니다.
시추관은 위 그림처럼 설치한 위치 아래로 끝까지 뻗어나갑니다. 만약 시추관이 석유 덩어리의 일부를 지나면 해당 덩어리에 속한 모든 석유를 뽑을 수 있습니다. 시추관이 뽑을 수 있는 석유량은 시추관이 지나는 석유 덩어리들의 크기를 모두 합한 값입니다. 시추관을 설치한 위치에 따라 뽑을 수 있는 석유량은 다음과 같습니다
.
시추관의 위치획득한 덩어리총 석유량
시추관의 위치 | 흭득한 덩어리 | 총 석유량 |
1 | [8] | 8 |
2 | [8] | 8 |
3 | [8] | 8 |
4 | [7] | 7 |
5 | [7] | 7 |
6 | [7] | 7 |
7 | [7,2] | 9 |
8 | [2] | 2 |
오른쪽 그림처럼 7번 열에 시추관을 설치하면 크기가 7, 2인 덩어리의 석유를 얻어 뽑을 수 있는 석유량이 9로 가장 많습니다. 석유가 묻힌 땅과 석유 덩어리를 나타내는 2차원 정수 배열 land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. 이때 시추관 하나를 설치해 뽑을 수 있는 가장 많은 석유량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 주세요.
문제 해결방안
BFS 방식으로 석유 그룹을 찾아서 각 카운트 값들을 진행중인 열의 값에 추가하는방식으로 진행해야한다. 효율성도 생각해야해서 bfs코드 안에서 각 col마다 석유량 그룹이 매칭되는 값 만큼 추가해줘서 해결했다.
bfs를 진행할때 queue에서 값을 빼는 col값을 Javascript의 Set기능으로 만약 오른쪽으로 석유그룹이 늘어나는경우에 그 늘어난곳의 값도 추가해줄수있다.
자바스크립트 코드
function solution(land) {
let row = land.length;
let col = land[0].length;
let visited = Array.from({length: row}, () => Array(col).fill(0));
let result = Array(col).fill(0);
let dx = [-1,0,1,0];
let dy = [0,1,0,-1];
for(let i = 0; i < row; ++i) {
for(let j = 0; j < col; ++j) {
if(!visited[i][j] && land[i][j]) {
let cols = new Set();
let count = 1;
let q = [[i,j]];
while(q.length) {
const [x,y] = q.shift();
visited[x][y] = 1;
cols.add(y);
for(let k = 0; k < 4; ++k) {
let moveX = dx[k] + x;
let moveY = dy[k] + y;
if(moveX >= 0 && moveX < row && moveY >= 0 && moveY < col) {
if(land[moveX][moveY] && !visited[moveX][moveY]) {
visited[moveX][moveY] = 1;
q.push([moveX,moveY]);
count++;
}
}
}
}
for(const col of cols) {
result[col] += count;
}
}
}
}
return Math.max(...result);
}
'Algorithm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프로그래머스] 붕대 감기 (0) | 2023.11.29 |
---|---|
[프로그래머스] 전력망을 둘로 나누기 (0) | 2023.11.11 |
[프로그래머스] 배달 (1) | 2023.10.30 |
[프로그래머스] 괄호변환 (1) | 2023.10.16 |
[프로그래머스] 주차 요금 계산 (0) | 2023.10.12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