Web Development/Front
[React-query] Stale time vs Cache time
alexrider94
2023. 9. 17. 20:46
staleTime
- 데이터가 fresh -> stale 상태로 변경되는데 걸리는 시간
- fresh 상태일때는 쿼리 인스턴스가 새롭게 mount 되어도 네트워크 fetch가 일어나지 않는다.
- 데이터가 한번 fetch 되고 나서 staleTime이 지나지 않았다면 unmount 후 mount 되어도 fetch가 일어나지 않는다.
cacheTime
- 데이터가 inactive 상태일 때 캐싱된 상태로 남아있는 시간
- 쿼리 인스턴스가 unmount 되면 데이터는 inactive 상태로 변경되며, 캐시는 cacheTime만큼 유지된다.
- cacheTime이 지나면 가비지 콜렉터로 수집된다.
- cacheTime이 지나기 전에 쿼리 인스턴스가 다시 마운트 되면, 데이터를 fetch하는 동안 캐시 데이터를 보여준다.
- cacheTime은 staleTime과 관계없이, 무조건 inactive 된 시점을 기준으로 캐시 데이터 삭제를 결정한다.
글로벌로 설정하는방법
const queryClient = new QueryClient({
defaultOptions: {
queries: {
staleTime: 1000 * 60,
cacheTime: 1000 * 60 * 5,
}
},
});
const App = () => {
return (
<QueryClientProvider client={queryClient}>
...
</QueryClientProvider>
);
};